Chat-GPT DALL-E 모델 이미지 - 지브리 사태 이전 강렬한 일러스트 그림체 이미지 생성 방법

챗지피티, 제미나이, 그록, 코파일럿 등의 인공지능들은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이 있어요. AI마다 이미지 생성하는 기능이 지원되고 있고, 이를 활용하면 여러 가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요. 또한 이들 인공지능 운영 회사들은 무료 이용자들에게도 하루에 이미지를 몇 장 정도 무료로 생성할 수 있게 하고 있어요. 그래서 누구나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요.

인공지능마다 화풍, 스타일이 다르다

재미있는 점은 각 인공지능의 이미지 생성 AI마다 화풍, 그림체가 다르다는 점이에요. 그래서 똑같은 프롬프트를 입력해도 다른 그림이 나와요. 단순히 다른 정도가 아니라 아예 다른 작가가 그린 것처럼 화풍과 스타일이 상당히 다른 그림이 생성되요. 그래서 본인이 원하는 화풍과 그림체로 이미지를 생성해주는 이미지 생성 AI를 찾아서 사용하는 게 좋아요. 안 그러면 아무리 돌려도 본인이 원하는 그림이 안 나와요.

인공지능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면 좋은 점도 있고 나쁜 점도 있어요. 먼저 좋은 점이라면 말로 이미지를 설명하면 인공지능이 이미지를 생성해줘요. 프롬프트를 짜서 입력하면 좋지만, 대충 말로 설명하기만 해도 인공지능이 알아서 이미지를 생성해줘요. 그래서 그림을 못 그려도 예쁜 이미지를 쉽게 뽑을 수 있어요.

대신 단점이라면 먼저 부분 수정이 거의 안 먹혀요. 인공지능들이 부분 수정은 잘 못 하는 편이에요. 어쩌다 될 때도 있지만,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인공지능에게 수정해달라고 해면 완전히 새로 그려버리는 일이 많고, 그러면 전혀 다른 이미지가 생성되요.

그 다음으로, 수정이 안 되니 본인이 생성된 이미지를 후보정할 것이 아니라면 이미지 생성 모델에 전적으로 의존해서 이미지를 만들어야 해요. 이때 모델마다 안 되는 것들이 있어요. 검열 때문에 안 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을 못 하는 것들이 있어요. 아무리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프롬프트를 짜도 잘 안 되거나 심지어 아예 안 되는 것들이 있어요. 이 점 때문에 인공지능의 이미지 생성 모델에 따른 화풍과 스타일 차이가 상당히 커요. 똑같은 프롬프트라 하더라도 완전히 다른 화풍과 스타일의 그림이 튀어나오거든요.

챗지피티는 3월 26일경에 이미지 화풍과 그림체가 완전히 바뀌었다.

이 중 챗지피티는 2025년 3월 26일경에 이미지 화풍과 그림체가 완전히 바뀌었어요. 이때 챗지피티는 지브리 애니매이션 그림체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고 홍보했고,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열광하며 챗지피티에서 지브리 애니매이션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했어요. 이 때문에 챗지피티가 한동안 거의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했어요. 이것이 바로 소위 '지브리 사태'라고 말하는 사건이에요.

지브리 사태 때부터 ChatGPT가 생성해주는 이미지 그림체가 완전히 바뀌었어요. 이 점은 특히 일본 2D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로 그려달라고 할 때 엄청나게 커요. 이건 모르는 사람이 봐도 바로 아는 수준을 넘어서 아주 멀리서 봐도 알 수 있어요. 이때부터 챗지피티에 일본 2D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스타일로 이미지를 생성해달라고 하면 지브리 애니메이션 느낌의 이미지가 생성되고 있어요. 프롬프트를 아무리 적용해도 이건 극복이 안 되요. 간신히 해결했다 싶어도 몇 번 이미지를 생성하다 보면 지브리 애니메이션 느낌이 스물스물 올라와요. 그 이전에 매우 단조로워졌구요.

그래서 지브리 사태 이전의 ChatGPT 가 그려주던 이미지 스타일을 그리워하는 사람들도 여럿 있어요. 지브리 사태 이전의 챗지피티 이미지는 매우 강렬한 이미지였어요. 특히 일본 2D 애니메이션 일러스트레이션 느낌으로 생성해달라고 하면 선이 굵고 색도 진한 상당히 강렬한 이미지들이 생성되곤 했어요. 이 그림체로 생성된 이미지들은 현재 ChatGPT에서 일본 2D 애니메이션 일러스트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해달라고 하면 생성이 안 되요. 오히려 ChatGPT에서 매우 고퀄리티의 이미지라서 자기는 못 해주니 다른 이미지 생성 AI를 사용하라고 권하기까지 해요.

ChatGPT DALL-E anime style image



즉 이런 그림체의 그림은 현재 ChatGPT에서는 단순히 일본 2D 애니메이션 일러스트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해달라고 요청해도 절대 생성이 안 되요. 완전히 다른 그림체의 그림이 생성되요. 위의 그림에서 그림체를 보면 선과 색이 강하고 상당히 강렬한 느낌의 이미지에요.

예전에는 챗지피티가 위와 같은 이미지를 뽑아줬지만, 지금은 일반적인 명령으로는 불가능하고, 노력해도 매우 잘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챗지피티의 이미지 생성 모델 자체가 3월 26일 즈음에 바뀌었기 때문이에요. 2025년 3월 26일 즈음 전의 ChatGPT 이미지 생성 모델은 DALL-E 였고, 이후 이미지 생성 모델은 GPT-Image-1 이거든요. GPT-Image-1으로는 아무리 노력해도 DALL-E에서 생성한 이미지와는 매우 다른 이미지가 생성되고 있어요.

그렇다면 현재는 챗지피티로 저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가?

아니에요. 방법이 있어요.

챗지피티에서 DALL-E로 이미지를 생성하면 됩니다.

챗지피티에서는 여전히 DALL-E 모델을 이용해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요. 단지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이미지 생성 모델이 DALL-E가 아니라 GPT-Image-1이기 때문에 따로 찾아서 설정을 해줘야만 DALL-E를 사용할 수 있어요.

챗지피티에서 2025년 3월 26일 즈음 지브리 사태 이전의 그림체 - 강한 선과 강한 색채로 강렬한 느낌이 드는 일본 Pixiv 일러스트 같은 느낌의 그림을 생성하기 위해 DALL-E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아요.

Chat-GPT 지브리 사태 이전 모델 DALL-E 이미지 생성 방법


챗지피티 DALL-E 이미지 생성 모델 사용 방법



GPT를 보면 왼쪽에 작은 동그라미 4개가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옆에 GPT라고 적혀 있는 메뉴가 있어요. 이 메뉴를 터치해요. 여기가 바로 GPTs를 사용하기 위해 들어가야 하는 메뉴에요. 이 메뉴를 보통 GPTs라고 불러요.

GPTs



GPTs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와요.

여기에서 화면을 쭉 아래로 내려가보기 시작해요. 또는 상단에 있는 DALL-E 메뉴를 터치하는 방법도 있어요. 최상위 선택 항목에도 DALL-E가 있고, DALL-E 항목으로 들어가도 DALL-E가 있어요. 그러니 둘 중 하나를 고르면 되요.

두 가지 방법 중 편한 방법은 화면을 아래로 천천히 내려가며 DALL-E를 찾는 거에요.

챗지피티 GPTs DALL-E



화면을 내리다 보면 By ChatGPT 항목에 DALL-E 가 있어요. 이것을 PC 웹페이지라면 클릭, GPT 어플이라면 터치해요.

챗지피티 강렬한 일본 애니메이션 일러스트 이미지 생성 방법



DALL-E 를 보면 작성자는 ChatGPT라고 되어 있어요.

그리고 DALL-E 설명을 보면 'OpenAI's legacy image generation model. For our latest model, ask ChatGPT to create an image in the main chat. 이라는 소개문이 적혀 있어요.

기능은 간단히 DALL-E 이미지라고 되어 있어요.

여기에서 채팅 시작을 클릭해요.

DALL-E



그러면 DALL-E 5 라고 뜨고 이미지 생성을 DALL-E 모델로 하는 채팅창이 생성되요.

이제부터 이 채팅창에서는 이미지를 생성하면 DALL-E 모델로 이미지가 생성되요. 지브리 사태 이전 챗지피티의 강렬한 화풍과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어요.

이용방법은 똑같아요. 프롬프트를 입력하고 이미지를 생성해달라고 하면 되요. 일반 채팅도 가능해요. 프롬프트를 만들어가며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어요. 완성된 프롬프트로 이미지만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어요.

단, 이 채팅창은 GPTs 채팅창이기 때문에 메모리를 참조하지는 않아요.

챗지피티 이미지 생성 방법



그 다음에 이미지를 생성하면 이렇게 DALL-E로 이미지가 생성되요.

ChatGPT DALL-E 모델과 GPT-Image-1 모델의 이미지 그림체 차이

챗지피티에서 이미지를 생성할 때 DALL-E와 GPT-Image-1 로 생성한 이미지는 아래와 같이 상당히 큰 차이가 있어요.

모두 똑같은 프롬프트를 사용했어요.

사용한 프롬프트는 아래와 같아요.

anime style illustration, beautiful young woman with long flowing black hair in a high ponytail, wearing a casual white blouse and short white skirt, standing gracefully in a traditional Japanese garden with cherry blossom trees in full bloom, soft petals falling around, red wooden bridge and pond in the background, bright spring sunshine radiating behind her, cheerful and lively expression, detail

먼저 일반 채팅창에서 이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의 결과물이에요.

GPT-Image-1 모델


GPT-Image-1 모델



일반 채팅창에서 저 프롬프트를 그대로 붙여 넣으면 GPT-Image-1 모델로 이미지가 생성되요. 위의 이미지를 보면 매우 소프트하고 선이 가늘은 편이에요. 부드럽고 따스한 이미지에요.

그 다음은 GPTs DALL-E 채팅창에서 위의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의 결과물이에요.

GPT DALL-E 모델

Chat-GPT DALL-E 모델 이미지 - 지브리 사태 이전 강렬한 일러스트 그림체 이미지 생성 방법



GPTs DALL-E 채팅창에서 저 프롬프트를 그대로 붙여 넣으면 DALL-E 모델로 이미지가 생성되요. 색이 진하고 강렬한 이미지에요. GPT-Image-1 모델로 생성한 이미지와 비교해보면 서로 완전히 반대되는 스타일의 이미지에요. 같은 프롬프트를 사용해서 생성한 이미지이고, 똑같이 ChatGPT로 생성한 이미지이지만 비슷한 부분이라고는 단 하나도 없다고 느껴질 정도로 차이가 상당히 커요.

이것이 단일 인물 세부 묘사로 들어가면 그 차이가 더욱 확실해져요. GPT-Image-1 모델은 확실히 소프트하고 지브리 느낌이 꽤 많이 나는 데에 비해 DALL-E 모델은 매우 강렬하고 Pixiv 일러스트에 가까운 이미지이거든요.

챗지피티에서 DALL-E는 여전히 사용할 수 있어요. 그리고 GPT-Image-1 모델과 DALL-E 모델은 생성된 이미지가 완전히 반대라고 해도 될 정도로 스타일과 화풍, 그림체 차이가 커요. 그러니 본인이 원하는 그림에 맞게 GPT-Image-1 모델과 DALL-E 모델을 선택해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좋아요. GPT-Image-1 모델에서 DALL-E 모델의 그림체의 그림을 아무리 요구해도 그 결과는 안 나오고 스트레스만 받고, 그 반대로 DALL-E 모델에서 GPT-Image-1 모델의 그림체의 그림을 아무리 요구해도 그 결과는 안 나오고 스트레스만 받거든요.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