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소는 언어에서 의미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로 정의된다. 형태소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의미를 가진 최소의 언어 단위이다. 형태소는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소리 단위인 음소나 음절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형태소는 더 이상 나눌 수 없는, 의미를 가진 기본 단어, 단어 앞이나 뒤에
붙어 파생어나 활용어를 만드는 접사, 보조어, 접미사 등을 포함한다.
투르크멘어의 모든 단어, 품사, 단어의 일부분은 형태소의 특정 유형에
속한다. 모든 형태소는 반드시 어휘적(lexical) 의미나 문법적(grammatical)
의미를 가져야 한다. 아무 의미도 가지지 않는 형태소는 존재할 수 없다.
투르크멘어를 포함한 튀르크계 언어에서는 단어들이 여러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투르크멘어에서 단어 구조란 단어가 어떤 형태소들, 즉 의미를 전달하는 가장
작은 부분들로 이루어졌는지를 말한다. 단어 구조 내의 각 형태소는 개별적으로
분석된다. 모든 단어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여러 형태소를 결합해
생성된다.
단어의 구성 요소인 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형태소는 언어에서 이미 완성된 형태로 존재하며, 필요할 때
새로 만들어낼 필요는 없다. 형태소는 고정불변하는 것이 아니며, 언어
단위로서 발전하고 변화한다.
예를 들어, is-le, gut-la, çat-ryk, ýag-myr 같은 단어에서 is와 gut 같은
기본 형태소는 원래 의미를 잃었지만, -la/-le 같은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어휘
형태소는 원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çat-ryk와 ýag-myr의 기본 어휘는
독립성을 유지했지만, -ryk, -myr 같은 접사는 파생 기능을 잃었다. 즉, 특정
역사적 시기에 어휘적 또는 문법적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의 가장 작은
부분인 형태소는 변할 수 있다.
단어의 형태소 구조는 단어 내 형태소를 식별함으로써 결정된다. 각 형태소가
고유한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어를 분석할 때는 의미를 기준으로
파악한다.
단어의 의미 요소를 분석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
1. 동근어 (동일 어근 단어) 비교
예)ýaz-uw(작성), ýaz-yjy(작가), ýaz-gy(기록), ýaz-mak(쓰다),
ýaz-dyr-ma(쓰게 하다)
- 이 방법은 기본 어근을 확정하는 데 사용된다.
2. 동형어 (유사 구조 단어) 비교
예) ýag-yn(비), ek-in(작물), tik-in(바느질); aw-çy(사냥꾼),
yz-çy(추적자), iş-çi(노동자)
- 이 방법은 현재 사용되는 단어 조합 규칙(패턴)을 밝혀낸다.
3. 단어의 활용형 비교
예) gül(꽃), gülüň(꽃의), güli(그 꽃), güle(꽃에), gülde(꽃에서),
gülden(꽃으로부터), gülüm(내 꽃), gülümiz(우리의 꽃) 등
- 단어의 생성 및 변화 형태를 비교해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를 전달하는
부분을 구분한다.
단어의 형태소 구조를 결정할 때는 형태소가 나타내는 의미와 더불어 그 표현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표현 방식에 따라 단어 속 형태소를 두 그룹으로
나눈다:
1. 자립적인 형태소
- 독립적으로 어휘-문법적 의미를 나타낼 수 있는 형태소. (주로 어근
형태소)
2. 비자립적인 형태소
- 독립적으로 의미를 나타낼 수 없고, 기본 형태소에 의존하는 형태소. (어근
형태소 외의 모든 형태소)
어근 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의미를 표현하므로 , 이들이 단어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도 밝혀야 한다. Öý-üm, kitab-yň, depder-imiz,
çaga-lar-yň 같은 단어에서 어근 형태소는 기본 어휘와 일치하며, 단어의
어휘적 의미와 문법적 의미를 모두 전달할 수 있다. 어근 형태소는 단어 구성에
대한 용어이고, 어근(기본 단어)은 단어 구조에 관한 용어이다. 어근 형태소는
단어의 가장 작고 분할할 수 없는 부분이다. 기본 어간이ýyg, ýygyn, ýygnak
같은 단어는 구성에 여러 형태소가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투르크멘어 단어 구조에는 주로 두 가지 형태소 - 즉 기본 형태소와 문법
형태소가 있어. 예를 들어, ýyg-ym-çy-lar-yň라는 단어에서 ýyg는 기본(어근)
형태소이고, 나머지 네 개는 문법 형태소이다. 단어의 주요 어휘적 의미를
전달하는 가장 작은 부분을 기본 형태소라고 한다. 즉, 기본 형태소는 기본
어휘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투르크멘어 학자들은 기본 형태소와 “어근” 개념을 구분하는 게 적절하다고
보고 있다. 기본 형태소조차도 역사적으로 파생어였을 수 있다. 예를 들어
ümür, ümez, ümüş-tamyş 같은 단어들은 üm이라는 어근을 공유한다. 이는 문법
형태소가 기본 어근의 음운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본
형태소와 어근은 구분해야 한다.
어휘 형태소는 어근 형태소뿐만 아니라 파생 형태소까지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어휘 형태소는 어휘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소를 문법적
의미를 전달하는 단어 변화 형태소와 구분하는 총칭으로, 문법적 의미를 가지는
형태소들과 구별된다. 이들은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 형태소, 어휘 단위, 어근
및 파생 접미사들을 포함한다. 투르크멘어의 어근 형성 및 등급 형성 형태소를
파생 형태소라고 한다. 파생 형태소는 기본 단어의 어휘적 의미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문법 형태소이다.
투르크멘어에서 기본 형태소를 제외한 모든 형태소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는 공통점이 있다. 1999년 발간된 학술 문법에서는 이들을 모두 접사
형태소로 통칭했다. 이들은 그동안 투르크멘어 언어학에서 문법 형태소, 접사
형태소, 단어 생성 형태소, 단어 변화 형태소, 보조 형태소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려왔다. 이 그룹에 속하는 형태소 중 어근 형태소에 붙어 새로운 어휘적
의미를 생성할 수 있는 형태소는 파생 형태소로 구분할 수 있다. 형태와
의존성에서 유사한 문법(보조) 형태소에는 단어 생성 및 단어 변화 접사 모두가
포함된다. 이들은 단어의 의미를 다양한 방식으로 명확히 하고, 단어가 문장
내에서 기능적-문법적 의미를 가지도록 하며,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독립적으로 의미를 표현하지 않는 품사(양상어, 후치사,
접속 조동사, 소사 등 문법적 수단, 단어를 연결하거나 추가적인 의미 뉘앙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도 보조(문법) 형태소에 속한다. 이들은 독립된
단어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어휘적 의미가 없는 단어들이므로 어근 형태소가 될
수 없다. 독립적으로 의미를 표현하지 않는 품사는 독립적으로 의미를 표현하는
품사와 별도로 사용될 수 없다. 이들은 독립적으로 의미를 전달하지 못하고
기본 형태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보조 형태소라고 한다. 따라서 문법 형태소의
한 유형으로 보조 형태소가 있다. 투르크멘어의 구조적 특성상 보조 형태소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단어 형태의 보조 형태소(후치사 및 접속 조동사)
접사 형태의 보조 형태소(소사)
단어 형태의 보조 형태소는 함께 사용되는 단어와 결합해 붙여서 쓰지 않고,
별도로 띄어서 쓴다.
예) Jeren bilen gitdi. Ýaşaýar we işleýär. Okaýşyña görä bildiñ 등.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어근 형태소 없이는 의미를 표현할 수 없다는 것은
모든 문법 형태소의 특징이다.
투르크멘어 단어에서 형태소의 배치 순서와 연속성은 변하지 않는다. 형태소는
독립적이든 의존적이든 언어에서 이미 완성된 형태로 사용된다. 어근 형태소를
역사적으로 보면, 많은 수가 두 개 이상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예: gö-z, gö-r, dym-yk, aý-dyñ, aý-yk 등.
투르크멘어를 포함한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기본 어휘 또는 기본(어근)
형태소는 특정 어휘적 및 문법적 의미를 가진 단어다. 현대 언어학적 관점에서
기본 어휘(어근)는 형태소로 나뉘지 않는다. 이 어근 단어들은 대개 한 음절
내지 두 음절로 구성되어 있다.
한 음절 어근 단어 예시) üç, sen, gök, soñ, ýok, ak, ol, biz, gel, git,
ur, sür, geç
두 음절 어근 단어 예시) agaç, iki, alty, oba, beýik, üçin, aýal, adam,
ene, ata, uly, kiçi, getir, oka
일부 기본 어휘는 역사적으로 복합어 또는 파생 어근일 수 있다. 즉, 이런
기본 어휘는 원래 하나 또는 두 개의 완전한 의미를 가진 단어와 현재
비생산적이거나 사용되지 않는 접사로 구성됐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언어에서는 기본 어휘로 간주한다.
예) kejebe, pyçak, düýn, öwret, göz, biz.
그러나 sygyr, keýik, töwerek, adam 같은 단어는 형태소로 나뉘지 않으며,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1. 역사적으로 형태소로 나뉘지 않는 다음절 단어
예) töwerek, telpek, tüýdük, çaga, ýylgyn.
2. 원래 두 형태소로 구성되었다가 합쳐진 단어
예) gulaç, bilezik, altmyş, ýetmiş.
3. 비관련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 투르크멘어에서는 주로 형태적으로 나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단어들은 기본 형태소로 간주한다.
예) kitap, daragt, päkize, million, respublika, kompýuter, alym, kätip,
mekdep.
어근 형태소는 단어의 추가적인 형태론적 발전의 기초가 된다. 어근 형태소는
파생되지 않은 기본 단어다.
예) indi, ozal, adam, ata, ene, bejer, beze, begen
이와 같은 형태소를 형태소 관점에서는 기본 형태소 (어근 형태소), 단어
형태로는 기본 어근 단어라고 부른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