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바어 문법 - 투바어 명사 어근 유형




투바어는 튀르크 어족에 속하는 언어다. 투바어는 다른 모든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다양한 문법 형태가 어근에 특정한 접사를 순차적으로 첨가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교착어 유형에 속한다. 새로운 단어 역시 주로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투바어 단어의 형태론적 구조를 분석할 때, 투바어에서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로 두 가지 유형의 형태소, 즉 어근과 접사가 발견된다.

단어의 형태론적 구성의 관점에서, 단어 내에서 어간(어근)과 접사를 구별해야 한다.

어간은 특정한 의미론적 통일성을 특징으로 하며, 사물, 사물의 속성, 행위 또는 문법적 관계의 지시로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안정적인 음성 음향 복합체이다.

접사는 어간에 음성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표준적인 음성 결합이 아닌 일련의 음성 변이형을 나타내는 음향 복합체이다. 독립적으로 기능하지 않고, 접사는 어간과의 결합에서만 의미론적 통일성을 획득한다.

투바어 명사 어근 유형

а) 어근-단어인 비파생 어근

- 이러한 어근은 현대어에서 어떤 형태론적 요소로도 분석될 수 없다.
예) аът '말', хой '양', бижи '쓰다', яжыл '일', көр '보다', кижи '사람' 등.

b) 어근과 단어 형성 접사로 구성되어 파생어를 이루는 파생 어근

- 이러한 어근의 구성에는 여러 개의 단어 형성 및 형태 형성 접사가 있을 수도 있다.
예) аыт-тыг '말을 가진', хой-жу '양치기', бижи-к '편지', '문자', '문법', бижи-д-икчи '구독자', ажылда '일하다', ажыл-да-кчы '노동자', көр-үн-чүк '거울', көр-үн-чүк-те-л-чек '거울의', кижи-зи-д-илге '교육', кижи-зи-д-икча '교육자' 등.

c) 두 개의 어근으로 구성되어 복합어를 이루는 복합 어근 (역시 파생어)
예) саржаг '버터 (소)', (сарыг '노란' + чаг '기름'), ак-тараа '밀', (ак '흰' + тараа '빵'), кары-сум '뇌조', (кара '검은' + куш '새'), ада-ие '부모', (ада '아버지' + ие '어머니'), аас-кежик '행복', (аас '입' + кежик '행운', '재산')

복합 어근의 구성에는 두 개의 어근 외에도 단어 형성 및 형태 형성 접사가 있을 수도 있다.
예) бижик-билик '문법', '문해력', (бижик '편지/글' + билик '자격/등급').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