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어 문법 - 소말리어 명사의 성과 일치




소말리어의 모든 명사 어근은 두 가지 문법 성 중 하나와 관련된다.

소말리어 명사의 성은 명사의 높은 음조 위치 및 명사를 수식하는 한정사에 요구되는 일치 패턴과 상관관계가 있다.

소말리어 명사의 문법적인 성은 그 명사가 동사의 주어인 경우 동사의 주어-동사 일치를 결정하는 역할도 한다.

전통적으로 소말리아어 명사는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된다.

소말리어 명사는 정관사 형태에 따라 남성 명사는 K-계열 일치, 여성 명사는 T-계열 일치라고도 한다. K-계열 일치와 T-계열 일치는 각 계열에서 일치하는 한정사의 기본 형태의 첫 자음을 나타낸다.

예) hílib (고기) - hílibka (그 고기, hilib+ka) = 남성
예) gacan (손) - gacanta (그 손, gacan+ta) = 여성

이러한 자음 – k와 t –는 일치 패턴을 정의하는 예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예측 가능한 형태음운론적 교체를 겪는다.

남성 명사 (K-계열) 정관사는 -ka, -ga, -ha, 또는 단순히 -a로 실현될 수 있다.

(낮, 날) béri -> bériga
(선생님) baráhe -> baráha
(머리) mádax -> mádaxa
(해, 년) sánnad -> sánnadka

여성 명사 (T-계열) 정관사는 -ta, -da, -dha, 또는 -sha로 실현될 수 있다.

(칼) mindí -> mindída
(소녀) gabadh -> gabáddha
(막대기) úsh -> úsha
(오후) galáb -> galábta

이러한 교체는 다른 한정사에도 확장된다.

소말리어 명사 중 일부 명사는 성 극성(gender polarity) 현상이 나타난다. 성 극성(gender polarity)이란 단수 형태일 때의 문법적 성과 복수 형태의 문법적 성이 달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예) sánnadka (그 해, 단수) = 남성 명사 vs sannaddáda  (그 해들, 복수) = 여성 명사
.
단, 모든 명사에서 성 극성 현상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소말리어 명사는 독립적으로 동사가 복수형으로 굴절할 때 성 구분이 통합된다는 주장이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복수 명사의 문법적 성은 고유한 것이 아니라 접미사 형태론과 명사 어간 자체의 형태의 조합에 의해 예측 가능하다고 한다.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