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demay yozgi ta'til ham boshlanadi.
곧 여름 방학도 시작됩니다.
Ta'til iyun oyidan to sentabrgacha 3 oy davom etadi.
방학은 6월부터 9월까지 3개월 지속됩니다.
Bu ko'p ko'rinsa ham, juda tez o'tib ketadi.
이것은 많아 보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빨리 지나갑니다.
Chunki bu vaqt ichida juda ko'p ishlarni qilib ulgurish kerak-da.
왜냐하면 이 시기에 매우 많은 일들을 해치워야 합니다.
Badiiy kitoblar o'qish, sport bilan shug'ullanish, sayohatga chiqish,
ota-onaga uylarni, o'qituvchilarga sinfni ta'mirlashda yordam berish
kerak.
국내 서적들 읽기, 운동경기하기, 여행하기, 부모님께 집을, 선생님들께
교실을 수리하는 것을 도와드리기를 해야 합니다.
Masalan, o'tgan yili oilamiz bilan 1-iyuldan 15-iyulgacha Chimyon
tog'larida dam oldik.
예를 들어, 지난해 저는 우리 가족과 함께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침욘산에서 쉬었습니다.
U yerda hammamiz nonushtaga qadar badantarbiya bilan shug'ullanardik,
nonushtadan keyin tushki ovqatga qadar sayr qilardik, chang'i va chana
uchardik.
그곳에서 우리들 모두 아침식사까지 맨손체조를 했고, 아침식사후
점심식사까지 돌아다니고, 스키와 썰매를 탔습니다.
Tushki ovqat soat 1 dan 2 gacha davom etardi.
점심 식사는 1시부터 2시까지 지속되었습니다.
Keyin dam olardik.
그 후 우리들은 휴식을 취했습니다.
단어
hademay 곧, 금방 ta'mirlamoq 고치다, 수리하다 tushki 정오의, 한낮의
ulgurmoq 도달하다, (뒤진 일, 잠 등을) 되찾다
=====
Men ertalab soat yettida turaman, yuz-qo'limni yuvaman, badantarbiya
qilaman, nonushta qilaman va maktabga otlanaman.
저는 아침 7시에 일어나고, 세수를 하고, 맨손체조를 하고, 아침 식사를 하고
학교에 갈 준비를 합니다.
Soat yettidan qirq besh daqiqa o'tganda maktabga yo'l olaman.
7시 45분에 학교에 갑니다.
Maktabda soat sakkizdan birgacha bo'laman.
저는 학교에 8시부터 1시까지 있습니다.
Men maktabda o'qiyman, yozaman, suhbatlashaman.
저는 학교에서 읽고, 쓰고, 대화합니다.
Soat bir yarimda uyga kelaman.
저는 1시 반에 집에 옵니다.
Uy kiyimimni kiyib ovqatlanaman.
저는 평상복을 입고 식사합니다.
Onam ishdan kelguncha uy ishlarini qilaman.
저는 제 어머니께서 일에서 돌아오실 때까지 집안일을 합니다.
Soat beshdan to sakkizgacha darslarimni tayyorlayman.
저는 5시부터 8시까지 제 수업을 준비합니다.
Soat sakkizdan to'qqizga qadar gazetalardagi yangiliklar bilan
tanishaman.
8시부터 9시까지 신문에 있는 새 소식들로 익힙니다.
Soat to'qqizdan o'n birgacha televizor ko'raman.
저는 9시부터 10시까지 텔레비전을 봅니다.
Soat o'n birdan keyin maza qilib uxlayman.
저는 11시 후에 만족스럽게 잠을 잡니다.
단어
otlanmoq 마련하다, 준비하다
문법
- '동사어간+guncha'는 '~할 때까지'라는 의미다.
- to 는 '~까지'라는 의미로 대부분 gacha와 함께 쓴다. to를 gacha와 함께 쓸
경우, gacha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이때 to를 생략해도
무방하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