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인 학교 우즈베크어 과목 교과서 2009년 6학년 50 (옛날 이야기) 저축 이야기




Tejamkorlik haqida ertak
저축에 대한 이야기

Qadim zamonlarda bir cholning Hasan va Husan degan ikki o'g'li bo'lgan ekan.
옛날 한 노인에게 하산과 후산이라는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Ularning ko'rinishi bir-biriga juda o'xshasa ham, fe'l-atvorlari har xil ekan.
그들의 외관은 비록 서로 매우 비슷했지만, 그들의 행동들은 달랐습니다.

Bir kuni ularning otasi betob bo'lib qolibdi.
어느 날 그들의 아버지는 편찮게 되었습니다.

Tabibga ko'rsatishsa, u: "Olatog'da hayot guli degan o'simlik o'sadi, shuni olib kelib hidlatsangiz, otangiz tuzaladi" - debdi.
그들이 의사에게 보여드리자 그는 "올라 산(山)에 생명의 꽃이라는 식물이 자란다. 그것을 가지고 와서 냄새를 맡게 하면, 네 아버지가 나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Shunda Hasan Husanga : "Sen otamning oldida qolib, unga qarab tur", - debdi va oziq-ovqat, kiyim-kechagini g'amlab, uzoq safarga chiqibdi.
그러자 하산은 후산에게 "너는 아버지 앞에 남아서, 그를 돌보아라"라고 말하고 식량, 옷을 모아 먼 여행길을 나섰습니다.

Hasan yo'l yuribdi, yo'l yursa ham mo'l yuribdi.
하산을 길을 걷고 걷고 또 걸었습니다.

U ovqatini va kiyimini tejamay isrof qilibdi va och-nahor, yarim yalang'och bo'lib ketayotgan ekan, o'sha yurt podshosining odamlari ko'rib, uni o'g'ri yoki josus deb o'ylab, zindonga tashlashibdi.
그는 음식과 옷을 절약하지 않고 낭비했고, 굶주렸고, 벌거벗은 상태가 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바로 그 나라 파샤의 사람들은 보고서 그를 도둑 아니면 간첩이라고 생각해 구덩이에 던졌습니다.

Hasan kelavermagach, Husan otasining oldiga qo'shnisini qo'yib, oziq-ovqat va kiyim-kechagini g'amlab safarga jo'nabdi.
하산이 계속 오지 않자, 후산은 아버지의 앞에 이웃을 두고, 음식과 옷을 모아 여행을 출발했습니다.

U yo'lda oziq-ovqatini tejab, kiyim-kechagini asrabdi.
그는 길에서 식량을 절약하고, 옷을 유지했습니다.

Yo'l yursa ham mo'l yurib, Olatog'ga yetib borib, u yerda yashovchi cholga qolgan nonlarini berib, kiyimlarini sovg'a qilibdi.
길을 걷고 걸어서, 올라 산에 다다랐고, 거기에서 살고 있는 노인에게 남은 빵들을 드리고, 옷들을 선물했습니다.

Hayot gulidan olib qaytib kelayotib, Hasan zindonda yotgan shaharga kelibdi.
생명의 꽃을 얻어 돌아오는 중에, 하산이 구덩이에 갇혀 있는 도시에 왔습니다.

Bu yerning podshosi o'lim to'shagida yotgan ekan.
이곳의 파샤는 죽을 상태가 되어 누워 있었습니다.

Husan unga Hayot gulidan hidlatibdi va podsho tuzalib qolibdi.
후산은 그에게 생명의 꽃으로 남새를 맡게 했고, 파샤는 치유되었습니다.

Podsho suyunganidan Husanga yarim podsholigini hadya qilibdi va yakka-yu yagona qizini unga nikohlab beribdi.
파샤는 기뻐했고, 후산에게 파사령의 절반을 선물로 주고, 외동딸을 그에게 시집보냈습니다.

To'ydan bir necha kun o'tgach, podshoning odamlari Husanni ko'rib qolib, Hasan deb o'ylab, podshoga u zindondan qochgan o'g'ri ekanligini aytishibdi.
결혼 후 며칠이 지난 후, 파샤의 사람들은 후산을 우연히 보고, 하산이라고 생각했고, 파샤에게 그가 구덩이에서 도망친 도둑이라고 말했습니다.

Buni eshitgan podsho uni zindonga tashlamoqchi bo'libdi.
이것을 들은 파샤는 그를 구덩이에 떨어트릴 생각이었습니다.

Podshoning qizi juda aqlli, dono ekan.
파샤의 딸은 매우 현명하고, 지혜로웠습니다.

U otasiga "Ota, avval zindonni qarashsin, agar qamalgan kishi u yerda bo'lmasa, kuyovingiz o'sha bo'ladi, unda qamasangiz mumkin", - debdi.
그녀는 아버지께 "아버지, 구덩이를 보세요, 만약 갇힌 남자가 거기에 없다면, 당신의 사위를 그렇게 하세요, 그렇게 가둘 수 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Podshoning odamlari zindonga borib qarashsa, bir kishi o'lay-o'lay deb yotgan emish.
파샤의 사람들이 구덩이에 가서 보았을 때 한 남자가 거의 죽어가는 상태로 누워 있었습니다.

- Olib bormasak, podshohimiz ishonmaydi, - deb chala o'lik Hasanni saroyga olib borishibdi.
"우리들이 데려가지 않으면, 우리들의 파샤는 믿지 않을 거야"라고 반쯤 죽은 하산을 궁전에 데려갔습니다.

Husan akasiga darrov hayot gulini hidlatibdi.
후산은 형에게 즉시 생명의 꽃을 냄새맡게 했습니다.

Hasan o'ziga kelib, Husanni tanib oyog'iga yiqilibdi.
하산은 정신을 차리고, 후산을 알아보고 넘어졌습니다.

Podsho Husan o'g'ri emasligini bilib, aka-uka topishganligini ko'rib, qolgan podsholigini Hasanga beribdi.
파샤는 후산이 도둑이 아님을 알고, 형제가 상봉한 것을 보고, 남은 파샤의 영토를 하산에게 주었습니다.

Husan bu mamlakatga podsho bo'libdi.
후산은 이 나라에 파샤가 되었습니다.

Hasan otasining oldiga borib, hayot gulini hidlatib, uni tuzatibdi.
하산은 그의 아버지 앞에 가서, 생명의 꽃을 냄새 맡게 해서 그를 치유시켰습니다.

Shunday qilib tejamkorlik, sabr-qanoat tufayli ular murod-maqsadlariga yetibdilar.
그렇게 해서 절약, 인내 때문에 그들은 목표에 다다랐습니다.

단어

betob 아픈 hidlatmoq 냄새를 맡게 하다 o'g'ri 도둑 atvor 행동 g'amlamoq 모으다 tejampoq 절약하다, 저축하다 isrof 낭비 och-nahor 빈 속에, 공복에, 굶주리고 yalang'och 벌거벗은, 알몸의, 드러낸 josus 간첩, 스파이 jo'namoq 출발하다, 향하다, 외출하다 asramoq 유지하다 qamalmoq 갇히다, 투옥되다 kuyov 신랑, 사위 sabr 인내, 끈기 qanoat 만족, 확신 murod 목적, 목표

문법

- o'lim to'shagida yotmoq 의 의미는 '거의 죽음이 가까워져서 침상에 누워 있다'는 의미다.

- (a)y demoq 은 '곧 ~할 것 같다'라는 의미다.
예) Kitob tushay deyapti. 책이 떨어지려고 한다.
Yomg'ir yog'ay deyapti. 비가 곧 내릴 거 같다.

- chala 는 '살짝', '절반 쯤'이라는 의미다.
예) Men bu kitobni chala o'qidim. 나는 이 책을 절반 정도 읽었다.

- '동사 어간+ayotib'의 의미는 '~하고 있을 때'라는 의미로 '동사 어간+ayotganida'와 같은 의미다.

- '~dan olmoq'은 '여러 개가 있는데 그중 몇몇을 가지다'는 의미고, '~ni olmoq'은 '전부 가지다'라는 의미다.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