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인 학교 우즈베크어 과목 교과서 2009년 6학년 51 (전래동화) 인과응보




Har kim qilsa o'ziga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

Katta shaharda bir faylasuf gado yashar ekan.
큰 도시에 한 철학자 거지가 살고 있었습니다.

Shaharda u kirmagan eshik va u bilmagan odam yo'q ekan.
도시에서 그가 들어가지 않은 문과 그가 모르는 사람이 없었습니다.

Odamlar ham unga juda o'rganib ketgan ekanlar.
사람들도 그에게 종종 배우러 갔습니다.

Faylasuf gado hamisha: "Har kim qilsa o'ziga!" - degan bir gapni takrorlaganicha ko'cha va bozor kezarkan.
철학자 거지는 항상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 라는 한 마디를 반복하며 거리와 시장을 배회했습니다.

Gado, ayniqsa, bolalarni yaxshi ko'rar, yig'gan qand-qurslarini, non-u kulchalarini ularga ulashib berar ekan.
거지는 특히, 어린이들을 좋아했고, 모은 사탕들을, 논과 작은 논들을 그들에게 나누어주었습니다.

Kunlardan bir kun faylasuf gado odati bo'yicha "Har kim qilsa o'ziga!, har kim qilsa o'ziga!" - deb ko'chani aylana boshlabdi.
어느날 철학자 거지는 습관적으로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라고 말하며 거리를 돌아다니기 시작했습니다.

Shu payt bir badjahl, qurumsoq ayol tandirga endigina non yopayotgan ekan, tanish gadoning ovozi eshitilibdi.
그때 한 사나운 구두쇠 아주머니가 화덕에 막 논을 굽고 있었고, 아는 거지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

- Ha, oting o'chgur!
"응, 죽어버려!

Sen o'lmading, biz qutulmadik" - deb bidirlab eshigi oldiga kelayotgan gadoni qarg'abdi.
너는 죽지 않았군, 네놈한테 시달리는 구나!"라고 빠르게 말하며 문 앞에 온 거지를 저주했습니다.

Johil fe'li ko'nglida shum niyat uyg'otgan ayol yopayotgan kulchalarining bittasiga margimush aralashtirilgan qatiqni surtibdi-da, tandirning bir chetiga alohida qilib yopishtiribdi.
무례한 행동의 마음에서 사악한 목적이 일어난 아주머니는 굽고 있던 작은 빵들 중 하나에 비소가 섞인 요구르트를 바르고, 화덕의 한 구석에 따로 분리해서 구웠습니다.

Gado darvozani ochib, "Har kim qilsa o'ziga!" deb xayr-ehson so'ragan ham ekanki, tandirdan non uzayotgan badjahl ayol darhol margimushli kulchani tandirdan uzib, gadoga uzatibdi.
거지가 대문을 열며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 라고 적선을 물어볼 때, 화덕에서 논을 떼어내고 있던 사나운 아주머니는 즉시 비소가 발라진 작은 빵을 화덕에서 떼어내고 거지에게 넘겨주었습니다.

Gado uni duo qilib, yo'liga ravona bo'libdi.
거지는 그녀를 위해 기도하고, 길로 갔습니다.

U katta ko'chaga burilishi bilan ko'chada o'ynab yurgan bolakaylar chug'urlashib o'rab olishibdi.
그는 큰 길로 방향을 틀자마자 갑자기 길에서 놀며 걷던 꼬마들이 짹짹거리며 애워쌌습니다.

Gado ularga xaltasida borini ulashibdi.
거지는 그들에게 그의 자루에 있는 것을 나누어주었습니다.

Bir bolaga esa tandirdan yangi uzilgan kulcha nonni beribdi-yu, yo'lida davom etibdi.
한 아이에게는 화덕에서 새로 꺼낸 작은 빵을 주었고, 길을 계속 갔습니다.

Qip-qizil bo'lib singib pishgan nonni bolakay xursandligidan bo'taloqday sakray-sakray yeya boshlabdi.
새빨갛게 되어 잘 구워진 빵을 꼬마는 기뻐서 새끼 낙타처럼 팔짝팔짝 뛰며 먹기 시작했습니다.

Ko'cha qiy-chuvga to'lib ketibdi.
거리는 왁자지껄한 소리로 가득찼습니다.

Hovlilardan xotin-xalajlar yugurib chiqishibdi.
정원들에서 여자들이 뛰쳐나왔습니다.

Hozirgina non yopib bo'lgan haligi ayol esa bolalar davrasida o'lib yotgan bolasining ustiga uvvos solib o'zini otibdi.
방금 논을 굽는 것을 끝낸 바로 그 여성은 아이들의 무리에서 죽어서 누워 있는 아이 위에서 소리치며 쓰러졌습니다.

Ne ko'z bilan ko'rsinki, bir tishlam yeyilgan margimushli nonni ushlagancha bolasi toshdek qotib yotardi.
도저히 믿을 수 없었습니다. 한 입 먹힌 비소 바른 논을 쥔 아이는 돌처럼 굳어서 누워있었습니다.

Faylasuf gadoning: "Har kim qilsa o'ziga!" degan hikmatli gapi badjahl ayol quloqlari ostida qayta jaranglaganday bo'libdi.
철학자 거지의 "누구든 한다면 자신에게!"라는 격언은 사나운 아주머니 양쪽 귀 아래에 다시 울리는 것처럼 되었습니다.

단어

kezmoq 거닐다, 방랑하다 ulashmoq 분배하다, 배포하다, 배급하다 badjahl 화를 잘 내는, 성난, 화를 내는 qurumsoq 인색한, 구두쇠의 tandir 화덕 bidirlamoq 빠르게 말하다, 지껄이다 qarg'amoq 저주하다, 폭언을 내뱉다 shum 사악한, 악한 niyat 의향, 의지, 목적, 의도 margimush (화학) 비소 surtmoq 비비다, 문지르다, 바르다 uzmoq 떼어내다, 따다, 뜯다 uzatmoq 건네주다, 넘겨주다 chug'urlamoq (새가) 짹짹거리다, (아이들이 시끄럽게) 재잘대다 o'rab olmoq 애워싸다 singimoq 빨아들이다, 흡수하다 tishlam 입 qotmoq 굳다, 마르다 duo qilmoq 기도하다 sakray-sakray (좋아서) 팔짝팔짝 qiy-chuv 왁자지껄한 소리 xotin-xalajlar 여자들 uvvos solmoq 소리치다

문법

- darvesh와 gado, tilanch 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darvesh 는 종교적 이유로 모든 것을 내버린 사람으로, 우리말로는 '이슬람 탁발승'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gado 는 큰 욕심이 없으며 하루 하루 자기에게 필요한 정도의 재물만 구걸하며 사는 사람이다.
tilanch (또는 kambagal)은 충분한 재물이 없어 구걸하는 거지를 말한다.

- oting o'chgur 는 직역하면 '이름 좀 지워버려!'라는 말이며, 우리말로 '죽어버려라!'라는 말이다. 악담이다.

- Sen o'lmading, biz qutulmadik 는 직역하면 '너는 죽지 않았어, 우리는 시달리고 있어'라는 말이며, 우리말로 '제발 좀 죽어버려라. 귀찮아 죽겠어'라는 말이다. 이 역시 악담이다.

- 악담 및 저주를 할 때에는 3인칭 희구형 -sin 대신 -gur 를 사용한다.

- '동사 어간+gan ham ekanki' 는 '~할 때'라는 뜻이며, '동사 어간+ganida'의 의미다. 문어체이다.

- singib pishgan non 은 '속까지 잘 구워진 논'이라는 뜻이다.

- duo qilmoq 은 가볍게 기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슬림의 의무인 하루 5회 예배가 아니라 두 손을 펴서 손바닥을 하늘을 향하게 해서 가슴팍~턱 근처까지 들어올리며 기도문을 외운다.

- '명사+ni o'rab olmoq'은 '~를 애워싸다, 포위하다'라는 의미다. '자신을 위해 포장하다'는 의미가 아니다.

- '형용사+ligidan'은 원인을 나타낸다.
예) xursandligidan 기뻤기 때문에, 기뻐서

- haligi 는 '앞서 말했던 바로 그'라는 의미다.

- quloqlari ostida jaranlamoq 은 '귓전에 울리다, 귓가에 울리다'는 말로, '듣고 있지 않지만 들리는 듯 하다'는 의미다.

- '동사 어간+gan+day(dek)'은 '~한 것처럼'이라는 의미다.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