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 러시아인 학교 우즈베크어 과목 교과서 2004년 8학년 05 1989년 10월 21일 우즈베크어 국어 제정




Til bilgan - el biladi
언어를 아는 것은 민족을 아는 것이다.

Nutq eng ulug' boylikdir.
연설은 가장 위대한 재산입니다.

Inson nutqi, gapira olishi bilan ulug'dir.
사람의 연설은, 말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위대합니다.

Barcha asrlarda xalqlarni bir-biriga bog'laydigan, yaqinlashtiradigan asosiy vosita til bo'lgan.
모든 세기에서 민족들을 서로에게 하나로 묶어주고, 가깝게 하는 기본적인 수단은 언어였습니다.

Ayrim tillar hatto xalqlar o'rtasida ko'prik vazifasini o'tagan.
서로 다른 언어들은 심지어 민족들 사이에서조차 많은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Shuning uchun "Til bilgan - dil biladi", deydilar.
그래서 "언어를 아는 것은 마음을 아는 것이다"라고 말합니다.

Hikoya qilishlaricha, kunlardan bir kun ulug' vazir va shoir Alisher Navoiy Samarqand shahrida bir-biri bilan tortishib savdo qilayotgan ikki insonga duch kelib qolibdi.
이야기하는 것에 따르면, 어느 날 위대한 재상이자 시인인 알리셰르 나보이가 사마르칸트에서 서로 흥정을 하고 있는 두 사람을 우연히 만나게 되었습니다.

Ular bir-biriga baqirar, biri "Se" desa, ikkinchisi "Uch" derdi.
그들은 서로에게 소리치고 있었고, 한 명은 "세"라고 말하고, 두 번째 사람은 "우츠"라고 말하고 있었습니다.

Atrofdagi odamlar esa "Narxini tushirma" deb, ularni yanada urishtirar edilar.
주변 사람들은 "가격을 깎지 마" 라고 말했고, 그들을 다시 다투게 하고 있었습니다.

Navoiy ularning yoniga yaqin keldi va har ikkoviga o'z tilida gapirib tushuntirdi.
나보이는 그들의 옆에 가까이 와서 두 사람 모두에게 그들의 언어로 이야기하며 설명했습니다.

"Ey, odamlar! Axir ikkovingiz ham bir xil narxni aytayapsiz-ku.
"이보시오, 사람들! 결국은 당신 두 사람 다 같은 가격을 말하고 있지 않소.

Tojik tilidagi "se" o'zbek tilidagi "uch" degani-ku!".
타지크어로 "세"는 우즈벡 언어의 "우츠(3)이란 말이오!"

Barcha odamlar xaxolab kulib yuborishibdi.
모든 사람들이 크게 웃으며 갔습니다.

Shuning uchun ham odamlar hamisha bir-birini yaxshi tushunish uchun, ahil va inoq yashash uchun bir-birlarining tillarini o'rganishga harakat qilib keladilar.
그래서라도 사람들은 모두 서로를 잘 이해하기 위해, 화목하고 사이좋게 살기 위해 서로의 언어들을 배우는 것을 노력합니다.

단어

xaxolamoq 웃다

=====

O'zbek tili Markaziy Osiyodagi eng qadimiy va boy tillardan biridir.
우즈벡어는 중앙아시아에 있는 가장 오래되고 풍부한 언어들 중 하나입니다.

O'zbek tilining imkoniyatlari shu qadar kengki, unda she'riyat uchun kerakli bo'lgan so'z boyligi, go'zal va nafis uslublarni ko'plab topish mumkin.
우즈벡어의 능력은 다음과 같이 넓습니다, 우즈벡어에서 시를 위해 필요한 단어들이 풍부하고, 아름답고 정교한 방법들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XV asrda buyuk mutafakkir shoirimiz Alisher Navoiyning "Muhokamat-ul lug'atayn" ("Ikki til muhokamasi") kitobida o'zbek tilining hech qaysi tildan qolishmasligi misollar bilan asoslab berilgan.
15세기 우리들의 위대한 사상가이자 시인인 알리셰르 나보이의 "무호카마툴 루가타인" (두 언어의 연구) 책에서 우즈벡어의 그 어떤 언어로부터 뒤처지지 않음이 예시들과 함께 입증해주었습니다.

Shuning uchun Alisher Navoiy o'zbek adabiy tilining asoschisi hisoblanadi.
그래서 알리셰르 나보이는 우즈벡 문학 언어의 고안자입니다.

Alisher Navoiyning turkiy tilda yozgan qator asarlari o'zbek tilining taraqqiyotida muhim ahamiyatga ega.
알리셰르 나보이가 튀르크 언어로 쓴 일련의 작품들은 우즈벡어의 발전에서 중요합니다.

단어

asoslamoq 입증하다, (증거를 들어) 주장을 강화하다 asoschi 발명자, 고안자, 창설자

=====

O'zbekiston Respublikasining davlat tili o'zbek tilidir.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국어는 우즈벡어입니다.

Davlat tili to'g'risidagi Qonun 1989-yil 21-oktabrda qabul qilingan.
국어에 관한 법은 1989년 10월 21일에 제정되었습니다.

1995-yil 21-dekabrda esa u yanada takomillashtirildi.
1995년 12월 21일에는 그것이 다시 개선되었습니다.

Ushbu qonun milliy qadriyatlarimizni tiklash va rivojlantirish uchun katta imkoniyatlar berdi.
바로 그 법은 우리들의 민족적인 능력을 정립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많은 가능성들을 주었습니다.

Respublikamizning barcha ta'lim tizimlarida o'zbek tilining o'qitilishi, ilmiy va rasmiy-ma'muriy ishlarning o'zbek tilida olib borilishi yo'lga qo'yildi.
우리들의 공화국의 모든 교육 체계에서 우즈벡어가 가르쳐지는 것, 학문과 공식적인 일이 우즈벡어로 되는 것에 길이 열렸습니다.

Til haqidagi qonunda O'zbekistonda yashaydigan barcha millat vakillarining davlat tiliga katta e'tibor bilan qarashlari va uni o'rganishlari zarurligi ta'kidlanadi.
언어 관련 법에서 우즈베키스탄에서 거주하는 모든 민족들이 국어에 큰 관심과 더불어 보는 것과 그것을 배우는 것이 필요함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단어

to'g'risidagi ~에 관해서 takomillashtirmoq 완성하다, 완전하게 하다, 개선하다, 발전시키다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