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블로그를 꽤 오랜 기간 운영했다. 거의 초창기부터 운영했으니 10년이 넘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과거와 상당히 많이 변했다. SNS의 역사를 보면 특정 기능 특화 SNS가 등장하며 분화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카카오는 반대로 하나의 SNS로 어떻게든 통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티스토리는 과거에 비해 많은 기능이 사라졌다.
글 작성 에디터만 해도 그렇다. 과거에 지원되던 많은 기능이 사라졌고, 지금은 예쁜 쓰레기에 가까워졌다. 게다가 버그는 하나도 안 고친다.
첫 번째. txt 편집기에서 작성한 글을 붙여넣으면 띄어쓰기가 전부 로 바뀐다.
두 번째. 제멋대로 폰트 크기 설정 코드가 들어간다.
반면 구글 블로거는 txt 편집기에서 쓴 글을 그대로 에디터에 붙여넣어도 지저분한 태그 없이 깔끔히 들어갔다. 예전 티스토리 에디터 같았다.
브런치와 편집기 맞춘답시고 저지른 에디터 업데이트 만행 전 티스토리 편집기와 현재 티스토리 편집기의 중간쯤 되는 느낌이었다.
구글 블로거를 간단히 사용해보니, 과거 티스토리 글 작성 에디터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면 그렇게 어렵거나 어색하지 않았다.
구글 블로거는 전세계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블로그 서비스다. 아무 것도 모르는 사람도 최소한 쓸 수는 있게 만들어져 있었다.
만약 정말 초보자이거나 귀찮다면 무료 스킨 선택한 후 가젯이나 간단히 설정하고 사용하면 된다.
뭐든 어렵다고 말하고 어렵다고 겁주지만 만약 진짜로 어렵다면 일반인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는 성장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런 서비스는 아주 기초적인 세팅만 해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다.
정말 마음에 들고 예쁘게 꾸미려고 한다면 어렵겠지만, 그런 디자인 쪽으로 큰 욕심내지 않는다면 무난히 쓸 수 있는 수준이었다.
구글 블로거와 티스토리의 결정적 차이점
1. 카테고리 유무
티스토리와의 결정적 차이점이라면 카테고리 유무다.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카테고리가 있다. 그래서 글에는 태그를 집어넣고 글을 카테고리로 분류한다.
반면 구글 블로거는 카테고리가 없다. 모든 것을 태그에 해당하는 '라벨'로 분류해야 한다.
여기에서 큰 문제가 발생한다. 태그 관리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블로그 조금만 오래 해도 자기가 어떤 태그를 사용했는지 다 모른다. 태그로만 관리하려고 하면 엉망진창에 뒤죽박죽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구글 블로거를 시작했다면 처음에는 라벨을 카테고리로 사용해야 하며, 태그는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카테고리 개념으로 라벨을 1개만 넣은 후 나중에 태그 개념을 도입해서 여러 라벨을 넣어가는 것은 쉽지만, 반대로 태그로 보고 라벨을 여러 개 집어넣은 후 카테고리 개념으로 태그를 정리하려고 하면 진짜 어렵다.
2. 숨김글 기능 유무
티스토리에서는 글을 저장하고 발행하지 않은 숨김글 기능이 있다. 비공개글이라고도 하는 기능인데, 구글 블로거와 티스토리 차이점을 이해하려면 숨김글이라고 하는 게 더 낫다고 본다.
반면 구글 블로거에는 숨김글 기능이 없다. 저장하기 기능만 있다. 저장하기 기능은 있다. 이는 티스토리의 임시저장에 해당하는 기능이다. 관리자 페이지에서 보면 '임시저장'이라고 되어 있다.
사실 임시저장과 숨김글의 차이점이라면 저장기간의 유무 차이로 봐야 한다. 구글 블로거에서 임시저장한 글이 어느 기간까지 유지되고 글 몇 개까지 가능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숨김글-임시저장글 시스템이 아니라 임시저장만 있다고 보는 게 좋다.
이 외에 알아본 바에 의하면 모든 개인용 구글 서비스를 포함해서 최대 용량이 15GB 주어진다고 한다. 그 다음부터는 유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한다고 한다.
최대 용량 문제는 사진이 많이 들어간 글 - 특히 여행기 작성할 때 주의해야 한다. 아무리 사진을 리사이징했다고 해도 사진 및 그림 파일이 많아지면 용량이 순식간에 불어난다.
해결책은 원본 jpg 파일을 리사이징 후 webp 포멧으로 변환시키면 된다.
여행기를 작성할 때는 사진이 상당히 많이 들어가는데 한 페이지에 사진이 몇 장까지 들어가는지는 앞으로 테스트해볼 문제다.
만약 본인이 정말 초보라면 아주 간단히 블로그 세팅만 한 후 소소한 글을 쓰며 적응하는 시간을 갖는 게 좋다. 겁낼 거 없다. 그 정도는 기본적으로 제공해준다.
단, 라벨은 태그가 아니라 카테고리라고 여겨야 한다. 다른 세팅이야 조금씩 공부해가면서 적용해가면 되지만, 라벨이 엉망이 되면 정리 진짜 힘들다. 태그 관리 및 정리 작업은 정말로 복잡하고 힘들고 시간 엄청 잡아먹다 못해 감당 안 되는 일이 되기 때문에 확실한 설계와 계획이 세워졌을 때 글에 하나 둘 추가해주는 것이 좋다. 아니, 맞다.
댓글 쓰기